몇 일전부터 오늘까지 첫 승리 포인트 5배 이벤트가 있었습니다.
덕분에 그동안 힘겹게 모아오던 리서치 포인트가 필요한 몇몇 전차에 아주 유용하게 사용했네요.
우선 SU-152입니다.
SU-152는 처음 시작시 주어지는 152mm포가 쏠쏠해서 생각보다는 포인트가 제법 모이는 탱디였습니다.
다만 152mm포가 데미지는 좋지만 관통력과 정확도, 재장전 속도가 너무 떨어져서 원거리 저격은 거의 운을 믿어야하고 근거리나 중거리 정도에 들어가야 쓸만합니다.
사실 처음 152를 탔을 때는 엔진과 궤도 업그레이드를 하고 152mm로 기동형 탱디를 꿈꿨지만...속도부터 관통력이 '아. XX 할 말을 잃었습니다.' 수준이어서 포기하고 엔진 업하고 그다음 122mm포를 1차 업했습니다.
122mm는 관통력과 정확도 재장전 속도가 조금 더 향상되었습니다. 데미지는 반으로 뚝떨어졌지만 저격하는 입장에서는 좀 더 숨통이 트인 느낌. 지금은 122mm 후기형으로 업글한 상태로 데미지는 변함없이 정확도와 재장전 속도만 조금 더 상승.
이제 본격적인 리서치 포인트 모으기에 들어갈 시간(...)
엔스크 맵에서 찾은 마이 포인트를 향해 돌진중.
M41은 이제 9만 포인트를 모아서 얼마 안 있으면 M12를 타게 되는군요.
SPGs는 타면서 느끼는 거지만 반은 운입니다(...) 아무리 타겟이 멈춰있고 정성들여서 조준선을 잘 정렬시켜도...안맞는 건 안맞더군요.
(근거리 탱크...즉, 바로 앞에 있는건 특히나 더해서 직사로 쏴도 머리위로 넘어갈 때는 좌절감이 두 배.)
올레! 드디어 VK3001P를 졸업했습니다.
88mm 포가 좋고 최고 스피드가 60이면 뭐합니까? 장갑이 바닥을 기어다니고, 일반 주행속도 30에 경사도를 이용한 '탄 튕김의 운'을 배팅해야하는 탱크 따위...
일단 포로 상대를 먼저 못잡으면 죽는다는 기분으로 운용했던 스릴 넘치는(?) 전차.
VK3601H를 안몰았다면 그냥 몰았겠지만 VK3601H를 몰고 이걸 몰면 홧병이 생깁니다. :)
그리고 지금은 VK3001(P)를 팔고 바꿔 탄 티거(P).
기본적인 티거ㅡ이건 지금 포인트 5만정도 남았습니다. 그것만 모으면 티거 2ㅡ에 비해 속도는 느리지만 전면 장갑이 더 두껍군요.
무식한 차체(Hull) 전면장갑 200mm 하지만 측면과 뒤는 80mm.
기본 티거의 업그레이드를 다 한 덕분에 업그레이드 할 물건은 궤도와 포탑(Turret)과 다음 탱크의 테크 포인트뿐. 좀 더 타 봐야 진가를 알겠군요.
상당히 독특한 외견의 티거(P)
지금까지 거쳐 온 탱크들과 표장들
아래는 0.6.7버전까지의 맵들(512x512)과 약간의 기록입니다.
월드 오브 탱크 위키에서 퍼온 이미지들이예요. :)
Arctic Region 1000m x 1000m
왼쪽 상단 언덕지형과 오른쪽 하단 모퉁이가 주요 격전지로 왼쪽 하단 삼각형 산지옆 비교적 넓은 지형을 통한 기습 전략이 자주사용. 중앙 통로는 별로 안쓰인다.
Cliff 1000m x 1000m
왼쪽 절벽을 끼고 저격전, 중앙의 힘싸움, 오른쪽 등대를 끼고 도는 격전.
개인적으로는 왼쪽 저격전에 주로 참여.
El Halluf 1000m x 1000m
오른쪽 하단의 물가. 자주포 사각지대로 정찰이 먼저 들어오고 왼쪽 상단의 산지에서 힘싸움이 거의 모든 게임에서 시나리오처럼 작용하는 맵. 특히 왼쪽 상단 산지에서 밀리면 답이 없는 경우가 많다.
Ensk 600m x 600m
제일 왼쪽의 저격라인, 그다음 헤비들의 격전지인 건물 숲, 중앙은 거의 버려짐
열차 선로와 오른쪽 구릉 지대는 정찰과 상대 자주포를 잡기위한 미듐들의 향연.
주로 왼쪽 시가전, 오른쪽 자주포 수호및 정찰전이 이뤄지는게 보통.
Erlenberg 1000m x 1000m
위쪽 다리를 따라 가로 왼쪽으로 공격이 들어가고, 아래쪽 다리를 따라 오른쪽으로 공격이 들어가는 형태. 중앙 다리는 거의 헤비 나 미듐 한두대만이 지키고 나머지는 위나 아래로 갈린다.
Fishing Bay 1000m x 1000m
추가 맵으로 맵을 위아래를 반으로 나누면 중앙지역을 선점한 쪽이 공세적인 면이 있었다.
하지만 점차 왼쪽의 높낮이차가 큰 언덕 지형과 오른쪽 해안의 시가전으로 양분되고 있으며
중앙의 뻥뚫린 지역은 정찰/자살 유닛들이 주로 이용.
양쪽 다 자주포는 왼쪽으로 몰리는 경향이 있다.
Mines 800m x 800m
왼쪽 등대가 있는 지역이 '2'팀의 공격 지역이지만 요즘 그쪽을 통한 러쉬는 많이 줄었다.
오히려 전통적인 중앙 언덕을 누가 먼저 차지하나의 싸움과 오른쪽 상단 시가전의 힘싸움이 중요하게 작용. 지형상으로는 '2'팀이 방어적인 위치에 있지만 언덕을 선점하는 경우는 '1'팀이 수세로 몰리는 특성이 있다.
Himmelsdorf 600m x 800m
중앙 광장 좌,우측 통로가 주요 격전지이며, 왼쪽의 선로지역과 오른쪽 높은 언덕지역은 미듐들이 힘싸움으로 선택하는 곳이다. 중앙은 거의 버려지지만 오히려 중반 이 후 정찰이 들어오는 통로로 이용되기도 한다.
Karelia 1000m x 1000m
왼쪽 상단으로의 미듐이나 헤비의 전진, 오른쪽 하단의 힘싸움이 주가 되는 맵.
중앙의 좌우 습지와 은폐물을 이용해 전진해오는 경우도 있지만 거의 대부분은 도달하지 못하거나 도달해도 만신창이가 된다.
Komarin 800m x 800m
출발지와 점령지가 떨어진 맵으로 좌,우측 깃발 포인트를 서로 수호하는 병력으로 나뉜다.
중앙 접전지는 전차 방어물이 있어 '헤비'가 아니면 지나갈 수 없다. 헤비들의 무덤이랄까...
중앙 힘싸움과 좌우에서 중앙을 향한 지원 사격으로 고티어를 먼저 잡는 쪽이 조금 더 유리하다.
간혹 깃발 점령지를 포기하고 극단적인 '빠른 점령'에 목메달기도 한다.
Lakeville 800m x 800m
왼쪽 병목형 언덕은 서로 지키는 형태. 중앙은 정찰과 간혹 힘싸움이지만 거의 버려진다.
호수를 끼도 도는 오른쪽 시가지가 가장 활발한 전투가 벌어지며 이 곳의 승리팀이 대부분은 게임을 가져간다.
Malinovka 1000m x 1000m
초보때부터 줄기차게 볼 지역. 캠핑노브카라고도 불린다. 왼쪽 들판을 마주보는 상태로 시작하는 맵으로 '1'팀쪽이 건물 잔해가 있어 저격전에 약간은 더 유리한 모습을 보인다.
오른쪽 상단의 언덕을 통한 힘싸움이 있지만 전체적으로 정찰로 많은 피해를 주거나 시야가 더 넓은 쪽이 유리한 결과가 나온다.
Abbey 1000m x 1000m
왼쪽 통로와 오른쪽 끝 통로가 많이 사용된다. 가장 자주 사용되는 힘싸움은 오른쪽 통로.
중앙부의 마을과 마을 좌우에 붙어있는 샛길은 견제용및 감시용으로 쓰이지만 양측에 몰린 상대편 중요 탱크가 많으면 빠른 러쉬를 들어가기에 좋은 곳.
Mountain Pass 1000m x 1000m
중앙보다 좌측 아래, 우측 상단 우회로에서 힘싸움이 빈번.
중앙 통로를 통해 빠른 정찰과 저격으로 미리 상대를 때려놓을 때도 있다.
꼭 막아야하는 곳으로 오른쪽 상단에 있는 다리가 있다.
Murovanka 800m x 800m
왼쪽 상단 우회로 힘싸움. 오른쪽 중앙 숲을 이용하는 '1'팀을 분쇄하는게 주된 전투 양상.
자주포가 큰 힘을 발휘하는 맵 중 하나.
Prokhorovka 1000m x 1000m
나무가 많은 왼쪽 오솔길, 오른쪽 마을이나 언덕위가 주로 포인트.
중앙을 통한 정찰및 자주포 제거팀이 간혹 밀고 들어오기도 한다. 왼쪽 오솔길 방어/자주포팀이 있을 확률이 높고 오른쪽 마을과 선로중앙지역이 격전지
Redshire 1000m x 1000m
오른쪽 중앙 언덕과 중앙부분의 '2'팀에 가까운 언덕이 저격하고 오른쪽 상단 구릉 지대와 왼쪽 하단을 통해 오른쪽 끝으로 타고 올라가는 두개의 공격 옵션이 있는 지역. 중앙 다리 부분을 통한 진입은 자주 볼 수 없다.
Ruinberg 800m x 800m
왼쪽 중앙 광장 부분의 힘싸움이 가장 주가 된다.
오른쪽 끝을 도로를 관통하는 정찰및 기동 병력들은 숫자가 작은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간혹 시작하자마자 중앙(I~II 원기호 표시 사이로 이어지는 중앙의 큰 도로)으로 힘으로 밀고 내려오거나 극단적으로 오른쪽에 강하고 빠른 미듐으로 구성된 팀이 내려오는 경우도 있다.
Siegfried Line 800m x 800m
왼쪽의 시원하게 뚫린 구릉지대는 몇대의 미듐이 정찰및 소규모 접전을 벌이고 주요 전투는 오른쪽 시가지에서 벌어진다. 간혹 제일 오른쪽 도로를 통해 올인 러쉬하는 경우도 있다.
Steppes 1000m x 1000m
중앙 통로를 이용한 빠른 정찰이 들어오는 경우가 있다. 저격전이 있지만 은폐물이 꽤 있어서 쉽게 결정 나지는 않는 타입. 주요 격전지는 왼쪽 언덕과 오른쪽 푹꺼진 통로형 지형.
어느 한 쪽도 버리기 힘든 맵.
Westfield 1000m x 1000m
주요 격전지는 왼쪽 상단의 언덕과 중앙 마을 지역이고, 오른쪽 하단 언덕과 커브형 통로 지역은 미듐 몇 대와 정찰용 경전차들이 주로 활약.
자주포가 두 대 이상 있는 게임인 경우에는 자주포를 먼저 잡는 쪽이 승기에 영향이 있다.
Sand River 1000m x 1000m
왼쪽 하단의 사구(모래 언덕)와 중앙 상단의 사구 지역이 주 격전지.
일부는 본진에서 저격을 하게 되는 곳으로 힘싸움과 저격 지원에 따라 힘싸움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