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뮬관련213 [PCSX2] 위닝 2k10 PS2용 위닝 2010버전이군요. 위닝 시리즈는 과거 가정용 기기부터 대를 이어오고 있는 코나미의 대표적인 축구게임입니다. 잘 아시다시피 이에 대항할만한 축구 게임은 현재 EA의 피파시리즈가 유일하죠. 그 분위기나 게임 감각면에서 각각의 장단점이 있으니 좋아하는건 개인차가 많지만 요즘들어 콘솔은 피파 PC는 위닝으로 전세가 역전된 기분입니다.(과거에는 PC로 위닝이 나오지를 않아서인지 서로간의 영토ㅡ콘솔 위닝 PC피파ㅡ가 뚜렸한 느낌이었지만 말이죠. 아직까지 이어지는 거라면 피파의 라이센스는 위닝이 못따라간다는 점이랄까요?) 위닝 일레븐은 그 자체에서 다시 두개 버전으로 나눠집니다. 수출용 버전인 PES(프로 에볼루션 사커)와 내수용 WE(위닝 일레븐)으로 말이죠. 이 두 버전간에도 차이가 있습니다. 물.. 2010. 1. 7. [PCSX2] PCSX2 0.9.7 릴리즈 + (메모) 2011/05/02 - PCSX2 0.9.8 버전이 릴리즈 되었습니다. SVN 4600버전으로 안정화된 정식버전. 아래는 2010/01/07까지 포스팅 수정본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009.09.08일 포스트 PCSX2 0.9.6의 마지막 베타판인 1736 버전을 끝으로 새로운 GUI를 채용한 0.9.7 베타로 바꿔 탔습니다. 그동안 진행되던 인터페이스를 탈피한 버전으로 깔끔한 외관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현재 일부 메뉴가 구동하지 않으며 화면 구동방식을 바꿔주는 F5키도 r1782 버전에서 정확히 동작합니다. 기존 버전에 있던 CPU 항목도 아직 동작하지 않으며 마이크로VU등 옵션이 기본적으로 켜진 상태이고 프레임 제한(i.. 2010. 1. 7. [PCSX2] 전국 바사라2 스샷 몇장 채널에서는 모던 워페어1 멀티에 불타오른 상태! 어제는 멀티를 건너뛰면서 잠시 전국 바사라2(영웅전)를 다시 잡았다. 그저 잠시 잡는다고 켰을 뿐인데 이미 시간은 흘러가고 있었다. 마구마구.카스가의 무기는 어느세월에 모을것인가?!옷이야 싱글을 클리어하면 된다지만 =_ =; 텍스쳐 크기 조절만으로는 이제 깔끔한 화면은 기대하기 어렵다. 스케일이 생긴 이 후 부터 뭔가 그래픽이 덜 깔끔해진 느낌. 무쌍시리즈는 왜 이 맛이 안날까(...) 끌어당기는 맛이 좋은 기술. 이런 기술들은 연타나 버튼을 계속 눌러주는 것에 따라 발동시 효과가 부가되기도 하던데 그럴경우 콤보가 끊어진다. 콤보 1000히트를 넘겨보고 싶다. 로리타입 이츠키. 부자연/부조화스럽다고 해야할까;;; 망치가 커진다는거야 이해를 하지만...(음?.. 2009. 11. 25. [DC] 헤비메탈 : 지오메트릭스(나오미) 헤비메탈 지오 메트릭스 스샷은 예전에 올린적이 있습니다. :: 예전 게시물 :: DC판이었는데 당시 컴이 저사양이었던지라 느린 상태에서 플레이 했었죠. 느리긴 했지만 상당히 재미있게 했었습니다. 이 후 컴을 새로 장만했고 에뮬쪽에서도 발전이 있었습니다. NullDC로 촉발된 DC에뮬레이터 경쟁은 현재로서는 Demul쪽에 무게가 실리고 있습니다. 널디시는...너무 조용하네요. 그래픽이 꺠지고 몇몇 게임이 구동 불가기는 하지만 그 빠른 시간에 DC, 나오미1,2, 아토믹 웨이브까지 지원한다는게 놀랍네요. 2009. 10. 17. [PCSX2] 위닝 테스트 그래픽 구현 자체가 완벽하지 않으나 이전 버전들보다 구동능력이 좋아졌다. 특히 r1996 버전부터는 프레임 제한 옵션이 잘 되기 때문에 즐기는데 무리가 없다. 문제는 전체 화면 모드가 언제 풀릴지 모른다는 것. 전체화면 위주로 플레이하시는 분들은 구 인터페이스 버전으로 플레이 하시기를... 현재 버전에서 전체 화면이 안되고 있기 때문에 보이는것과 조금씩 차이가 있을 수 있음. 더 깔끔하긴 하나. 시스템 자원을 더 많이 소모. 2009. 10. 12. [DC] 버파4 파이널 튠 스샷 DC 에뮬인 Demul 0.5.5버전이 릴리즈 되었습니다. DC, 나오미, 아토믹웨이브등의 세가 기판을 지원하며 0.54버전때 있었던 '240MB 메모리 에러'로 인한 실행 불가 문제가 해결되었습니다. 아직 개발중이라 그래픽 깨짐이 있고 몇몇 배경에서 상당히 느려지기도 함. 게임에 따라서 속도차도 있음. 버추어 파이터 시리즈는 세가의 대표적인 격투 게임입니다. 최초의 폴리곤/3D 대전 격투 게임으로 1편은 박스형태 그대로 각진 모습이지만 3차원에 동적인 카메라와 호쾌함이ㅡ사실 박스...그게 움직이는거 자체가 참 신기했다!!!ㅡ 오락실 유저들의 눈길을 끌었던 작품. 색다르면서도 간단한 조작방식이었으나 적응하기 힘들었던게 사실. 2D 게임에 동전 쌓여있을 때 몇몇 유저들이 붙잡고 있던 버파... 이 후 나온.. 2009. 10. 10. [MODEL2] 제로거너 MODEL2는 현재 0.9버전 까지 나온 상태로 오랜기간 침묵기... 제로거너(또는 제로건너)는 사이쿄(PSIKYO. 1992~2002. 크로스너츠에 합병)에서 나온 헬기 슈팅 게임입니다. 전체적으로 사이쿄의 성공작들 보다는 비디오 시스템에서 나왔던 소닉윙즈(Sonic Wings)시리즈와 많이 닮아 있는 게임. 명작 슈팅게임을 양산해온 사이쿄 작품이라기에는 뭔가 결여된 느낌이 드는 게임입니다. DC로 제로건너2가 있다는데 이건 반응이 좋았던 듯? 3D 슈팅이지만 기본적으로 종스크롤 슈팅 형태를 가집니다. 탄이 화면이 이동하면 따라오는 느낌이 들어서 피하기가 껄끄러운 느낌이 없지 않은게 흠이랄까요.원래 그런건지 프로그래밍실수인지..).슈팅게임을 위해 동체시력을 키워온 분들에게는 쉬운 게임 정도 일것 같네요.. 2009. 9. 28. [PCSX2] 철권5(수정) 2010.05월 추가 최신 PCSX2 버전에서는 철권 5 구동이 잘 됩니다. 이전 C++에러나 에뮬레이터가 중단되면서 꺼지는 현상은 더이상 나오지 않습니다. 2010.01.14일 추가 XP 32비트(DX9)에서 철권 5가 구동이 안됩니다. (그러니까 제 시스템에서는 말이죠. 다른분들도 그럴꺼라 생각하고 글을 쓰고 있습니다. 특히 요즘 버전으로 플레이를 하려면 VC++에러가 나면서 강제 종료가 되버리죠.) 그게 아쉽다는 분들은 PCSX2 r1842을 구하시길 권장합니다. 이 버전이 아래 글쓰던 시기에 나온 녀석입니다. 분명 저 버전 이후 하나에서 두번째 버전까지는 플레이가 가능했던 걸로 기억나는데 지금으로서는 r1842버전을 제외하면 에러를 불러오거나 GDSX 최신버전을 인식하지 못합니다. 즉, r1842.. 2009. 9. 18. [PCSX2] 건담무쌍2 - 테스트 PS3으로 먼저 선보였던 게임인 '건담무쌍(Gumdam Musou)'의 후속작인 건담무쌍2의 PS2버전입니다. 콘솔게이머 혹은 일반 게이머라면 이미 충분히 알고 계시겠지만 PS3가 처음 나올때 너무도 비싼 게임기라는 인식에다가 지원 타이틀도 적은 상태라 게임을 지원하는 블루레이 플레이어라고들 말을 했었습니다.(뭐, 지금도 별반 달라진건 없어 보이지만...) 그리고 뒤이어 발표된 작품중 꽤나 말이 많았던 작품중 하나가 바로 이녀석이죠. PS2 그래픽에 밋밋한 액션. 단지 건담이라는 이름으로 팔아먹기위해 나온 녀석. 실제 PS3에서 플레이해본 사람들 소감중에는 '이건 아니야...'라는게 다수를 차지한 것 같습니다. 코에이가 만들었다고 해도 역시 반다이가 겹쳐지면 게임성이 바닥까지 내려갔다고 말하는 사람들도 .. 2009. 9. 7. [PCSX2] 럼블로즈 - 테스트 RumbleRoses는 철저하게 여성을 상업화한 결과물이죠. 일본식 마케팅이라고 해야할지 공략할 대상을 잘 안다고 해야할 지 모르겠지만 남성들로부터 사랑받는 타이틀중 하나였습니다. 나중에는 XBOX360으로 Rumble Roses XX(럼블로즈 더블 X)라는 타이틀이 발매 되기도 했습니다. 모든 캐릭터가 여성인 프로 레슬링 게임에 'DOA'시리즈에서 이슈가 된 바스트모핑을 더하고 거기다 섹시함으로 강조한 의상으로 무장하고 있다. 더불어 경기장이 아닌 비키니를 입고 진흙 경기장 모드까지... 확실히 이 제작진은 뭔가 아는 사람들이 모인겁니다.(사악하기까지 한 그런 사람들이) 아직 그림자가 깨지며(원래 그런건 아니겠지...) 그래픽 설정을 하지 않으면 화면이 매우 떨립니다. 더구나 기본 메뉴/로딩 화면일 때.. 2009. 8. 31. 이전 1 ··· 6 7 8 9 10 11 12 ··· 2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