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틸리티

[기록] 팟플레이어 대신 MPC-HC를 사용해 유튜브와 치지직 보기

by infantry0 2025. 3. 9.
728x90

주인장이 메인으로 사용하는 동영상 재생기는 팟플레이어다.

 다음팟 시절? 아니 그전부터 사용했었고, 카카오로 넘어가고 광고 떠넘기기까지 하는 지금까지도 사용 중인 동영상 플레이어. 말이 많은 것을 넘어서 정말 대체제를 찾아야 할 것 같은 지금도 쉬운 사용법과 꾸준한 업데이트 덕분에 여전히 마음속 최고의 위치에 자리 잡고 있다.

 

그래도 X 같은 불편한 점이 있는데...

1. 그리드. 자체 스트리밍 서비스에 사용하며, 업데이트하면 방화벽에서 이름을 조금씩 바꿔서 등록해 버린다.

2. 광고. 실행할 때 잠깐 뜨는 정도에 광고도 가벼운 편이라 큰 문제는 아니지만, 자체 서비스들이 줄줄이 죽었는데 광고만 남아있는 게 영 그렇다.

  광고가 없던 구버전도 썼었지만, 갈아타지 않으면 방송을 못 보게 막아버렸다. 온라인 방송을 뺀 해외판마저 광고를 넣어서 인기 있던 해외에서도 '애드웨어'로 낙인찍혔다.

3. 무겁다. 팟플 자체보다 방송 목록에 언젠가부터 Edge 웹뷰 2를 쓰면 자원을 너무 많이 차지한다.

 간혹 오작동인지 CPU 사용이나 메모리 잠식이 미쳐 돌아가는 경우가 있다. 팟플을 재시작하거나  MS에지 브라우저를 업데이트시켜서 웹뷰 2도 함께 업데이트하면 괜찮아진다.

 웹뷰 문제로 문제 제기한 사용자에게 팟플 개발자는 마소 문제지 팟플 문제는 아니라는 식의 답글을 달았다. 아니, 안 쓰던 물건을 가져다 쓴 건 누군데;;

 어쨌든 카카오가 먹은 이후로 다른 플레이어를 찾아보면서 발견한 것이 여러 가지 있었는데, 지금까지 남는 플레이어는 몇 가지 안 된다. 그중 지금 가장 나아 보이는 물건이 바로 MPC-HC다.

미디어 플레이어 클래식 - 홈 시네마와 블랙 에디션

MPC-HC는 'Media Player Classic - Home Cinema'의 약자로 가벼웠던 미디어 플레이어 클래식(Windows Media Player 6.4)처럼 미디어 재생 그 자체에 집중한 오픈소스 플레이어.

 최초 개발자는 개발을 그만뒀고, 이후에 HC는 clsid2가 개인적으로 꾸준히 업데이트하는 버전과 Aleksoid1978라는 러시아 개발자가 만들고 있는 BE(Black edition) 버전이 있다.

 BE가 HC보다 최신 기술과 보다 현대적인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지만 조금 더 무겁다고 한다.


차이점은 유튜브 실행 때 바로 느껴지는데, 유튜브 영상 링크를 복사해 파일-URL 실행(Alt+O)에 넣었을 때 HC는 렌더링 문제로 영상을 볼 수 없지만, BE는 바로 유튜브 영상을 재생시켜 준다.

 

:: MPC-HC Github :: - 현재 안정화 버전 2.4.0
:: MPC-BE Github :: - 현재 안정화 버전 1.8.3

* Zip파일은 압축만 풀어주면 사용할 수 있는 무설치판이다.

 

 HC에서는 조금 추가 작업을 해줘야 유튜브 영상을 볼 수 있다. 이를 활용하면 치지직 역시 주소만 붙여 넣기 해서 MPC-HC에서 볼 수 있는데, 이게 보기는 정말 편하다.

  채팅창을 활용할 수 없고, 다소 딜레이가 발생하지만, 플레이어로 켜놓고 보려고 할 때는 쓸만한 방법이다.

 

:: yt-dlp Github ::

:: FFmpeg 다운로드 1 / 다운로드 2 ::

 

먼저 'Yt-dlp_win'이라는 압축 파일을 다운로드한다.

그리고, ffmpeg에서 최신 파일을 받는다. 압축 파일에서 ffmpeg.exe만 필요하니 해당 파일만 압축을 풀고 지워도 된다.

 

파일을 다 받았다면...

HC는 설정 - 고급에서 UseYDL 옵션이 적용 중인지 확인한다.

MPC-HC를 설치한 폴더에 그대로 넣어주면 된다. yt-dlp는 exe와 _internal 폴더를 ffmpeg는 exe파일을 이동시켜 주면 끝.

BE의 경우는 yt-dlp 관련 파일과 폴더만 설치 폴더에 넣어주면 된다.

 

이후 MPC-HC를 실행하고, 유튜브나 즐겨보는 치지직 스트리머 라이브(예: 치지직.com/live/xxx)주소를 Ctrl+O로 열어서 실행하면...

yt-dlp를 호출해서 영상을 볼 수 있게 된다.

 영상이 출력 될 때 창크기가 커진다거나 웹브라우져 실시간보다 딜레이가 좀 있다는 문제가 있으나, m3u8 주소 추출 같은 추가 작업이 필요 없다는 점이 좋다.

 

 트위치가 한창일 때는 팟플로 트위치를 보기도 했었는데, 이때는 관련 애드온 파일(MediaPlayParse-xxx.as)을 사용했었다.

 그러다가 트위치 철수로 게임 방송은 대부분 치지직으로 넘어갔는데, 좋아하는 스트리머 방송을 팟플레이어에서 보려면 방송 주소를 따오는 사이트를 통하거나 브라우저의 F12 개발자 모드에서 관련 주소를 뽑아야 겨우 볼 수 있었다.

 

 더구나 이상하게 파이어폭스에서 치지직이 제대로 안 뜨는 경우가 많아서 치지직을 보려다가도 귀찮아서 넘기는 일이 많았는데, 네이버가 막지 않으면 한동안은 이걸로 치지직을 보게 될 듯.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