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최신 PCSX2 버전에서는 철권 5 구동이 잘 됩니다.
이전 C++에러나 에뮬레이터가 중단되면서 꺼지는 현상은 더이상 나오지 않습니다.
2010.01.14일 추가
XP 32비트(DX9)에서 철권 5가 구동이 안됩니다.
(그러니까 제 시스템에서는 말이죠. 다른분들도 그럴꺼라 생각하고 글을 쓰고 있습니다. 특히 요즘 버전으로 플레이를 하려면 VC++에러가 나면서 강제 종료가 되버리죠.)
그게 아쉽다는 분들은 PCSX2 r1842을 구하시길 권장합니다.
이 버전이 아래 글쓰던 시기에 나온 녀석입니다. 분명 저 버전 이후 하나에서 두번째 버전까지는 플레이가 가능했던 걸로 기억나는데 지금으로서는 r1842버전을 제외하면 에러를 불러오거나 GDSX 최신버전을 인식하지 못합니다.
즉, r1842만이 최신버전의 GDSX를 이용해 구동할 수 있습니다.
실행파일과 w32pthreads.v2만 있으면 말이죠. 물론 이 버전에서는 바이오스 스킵불가, 프레임 제한 불가, ISO실행 불가,전체화면 불가입니다.
(아래 글들은 이전에 썼던 글입니다.)
텍스처를 낮춰서 흐립니다.
(32bit XP라 DX9 GSDX로 구동되기에 기존에는 zeroGS로 테스트를 겨우 하는 수준.)
아직 프레임이 잘 나오는 건 아닙니다. 일부 배경에서는 잔상, 가로줄, 비정상적인 텍스쳐 사용/정리등이 발생합니다. 또한 텍스쳐 해상도를 1300 정도 넘어가면 화면에 세로줄이 가더군요.
(* 테스트 해 본 바로는 1250,1250까지는 세로줄이 없었습니다.
하여튼 이제 기본 플러그인을 바꿀 필요 없이 구동이 된다는 것만으로도 큰 발전이라 하겠습니다.
물론 게임을 실행해서 F5(화면에 쏴주는 방식) 와 F6(화면비율)으로 맞춰줘야 할 정도로 기본적인 화면 떨림이 있습니다. 게임 자체의 화면 주사방식인 프로그레스 방식으로 바꿔 주면 이상하게 새로운 떨림현상이 발생하는군요. 옵션중에 화면을 부드럽게(Soft)해주는 것과 깨끗하게(Sharp)가 있는데...둘다 마음에 안드는 군요 =_ =;
여기에 쓰는 내용이나 실제 구동 능력은 각자의 컴퓨터 사양, 구성하는 OS와 소프트웨어, PCSX2버전과 해당 옵션에 따라 천차만별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각자 자신에게 맞는 옵션과 구동 능력,방법을 알아봅시다.
스샷들은 텍스쳐 값이 1000,1000으로 주어서 찍었는데 너무 뿌옇게 나오는 군요.
반응형
'에뮬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DC] 버파4 파이널 튠 스샷 (6) | 2009.10.10 |
---|---|
[MODEL2] 제로거너 (0) | 2009.09.28 |
[PCSX2] 건담무쌍2 - 테스트 (0) | 2009.09.07 |
[PCSX2] 럼블로즈 - 테스트 (1) | 2009.08.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