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에뮬관련

[PCSX2] 제가 쓰는 설정

by infantry0 2009. 6. 28.
728x90
우선 기본적인 에뮬은 PCSX2 홈페이지에서 받으실 수 있습니다.
여기 소개하는 기본적인 설정화면은 개인적인 용도이며 최적화와는 상관 없습니다.
* 바이오스는 PS2의 바이오스를 덤프해 쓰는 것 이므로 직접 공유 및 파일 제공은 불법입니다.

기본 설정

우선 그래픽은 GSDX면 대부분 구동이 가능합니다. 철권등 몇몇 게임은 ZEROGS만 돌아가기도 합니다.
( 0.9.7베타 이후 버전에서는 DX9시스템에서도 GSDX로 철권들을 돌릴수 있습니다. :: 참조 :: )
참. GSDX DLL파일은 SSE2, SSSE3, SSE4의 3가지가 있습니다. CPU에 따라 지원하는 명령셋이 다르기 때문에 찾아보고 쓰는게 좋을 듯 합니다. 보통 AMD나 일반적인 CPU들은 SSE2로 적용하면 됩니다.

사운드는 저는 zeroSPU2를 사용합니다. 옵션은 딱히 건드려 줄 것이 없네요.

패드는 릴리 패드. 싸이복스를 사용하며 진동의 지속 시간이 불특정하게 길고 강하다는 점을 빼면...그럭저럭 쓸만합니다.

CDvdrom은 PS2 게임을 이미지로 떠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데몬툴을 사용해서 돌려주고 아닌경우 직접 디스크를 쓸경우는 DVD롬을 이용하는데 DVD를 쓰면 .... 너무 과하게 읽더군요;
(참고로 linuzISO를 쓰는경우에 실행되는 녀석도 있습니다. 0.9.6 말기 버전 또는 0.9.7 Legasy버전에서는 에뮬자체에서 ISO 실행이 가능합니다. )
기타 옵션은 초기 그대로입니다.

GSDX의 경우

 XP 32비트를 사용해 아직 다이렉트X9만 사용 가능합니다. 아쉽지만 비스타나 64비트 체제에서 에뮬 사용에 불편이 있다는 말 때문에 못바꾸고 있군요. 다이렉트X10을 쓰는 경우 더 빠르고 GSDX만으로 구동이 어려운 몇몇 게임이 구동가능한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일부 구동시 효율도 올라가는것으로 보입니다.

 인터레이싱(Interlacing)의 경우. 영상이 흔들릴 때 Bob tff/bff(게임중 F5번)로 바꿔서 조정하면 영상의 흔들림을 맞춰줄 수 있습니다.

 그 아래 영상 비율은 4:3 기본이며 16:9등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꽉찬 화면이 좋으나 영상이 늘어져 보일 수 있습니다.(게임중 F6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D3D 인터날 레즈는 영상에 쓰이는 텍스쳐등의 크기로 1024, 1024가 기본 크기입니다.
(무리해서 2048로 하실경우 깔끔하긴하지만 느려지거나 영상이 중첩되어 보일 수 있습니다.)
게임에 따라 Native를 체크해서 저화질로 플레이 해야 깨지거나 영상이 겹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특히 2D 격투게임은 1024나 그 이후 크기로는 각 스프라이트간에 이음새가 보일수 있습니다.
이럴때는 Native또는 700, 700이나 그 이하로 조절해 보시길 바랍니다.
(* 테스트는 끝자리를 0으로 맞춰서 10단위로 변경을 권장 예) 1000, 1020, 1600)

그 아래 체크된 Logarithmic Z는 텍스쳐를 보정해 줍니다.
(대부분의 게임에서 이걸 체크해주시는게 좋습니다)

 이외에는 Config - CPU - Frame Limiting(F4) 항목에서 제한(Limit)을 선택하고 그아래 Custom FPS Limit 셋팅값을 60으로 잡아줘야 합니다.

이상 제 개인 설정은 끝.
반응형

'에뮬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NGC] 나루토 격투 닌자 대전1  (2) 2009.07.14
[PCSX2] 오딘 스피어 - 테스트  (6) 2009.07.04
[PCSX2] 페르소나3 - 테스트  (3) 2009.06.21
[PCSX2] 페르소나4 - 테스트  (1) 2009.06.1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