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틸리티

가끔씩 돌려보는 프로그램 - 보안툴 Adwcleaner, KVRT

by infantry0 2024. 11. 20.
728x90

여기에 적어두는 툴은 모두 무설치이며, 실시간 감시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저처럼 윈도우 디펜스 위주로 사용하면서 가끔 프로그램을 돌려서 별다른 문제는 없는지 확인하는 경우라면 참고할만하지만, 그게 아니라면 설치형 백신이나 보안툴을 사용하는 게 최선입니다.

AdwCleaner

Adwcleaner는 2011년에 처음 등장한 멀웨어, 애드웨어, 스파이웨어 검색 툴입니다.

 프랑스의 'Xplode'라는 개발자가 만든 악성코드 제거 툴이 시초로 지금은 멀웨어바이트(Malwarebytes)에 인수되어 버전 8.4.2까지 업데이트 됐습니다.

 

사용법은 여전히 단순하며, 설치가 필요 없는 단일 파일로 제공됩니다.

 자체적으로 한글을 지원하는 툴이라 사용법은 별로 설명할 것이 없으며, 파일을 실행하면 빠른 속도로 검색한 후 격리해야 할 물건을 표시해 줍니다.

 걸리는 물건은 애드웨어와 PUP(Potentially Unwanted Program, 주로 사용자가 모르게 설치되어 광고나 팝업창을 띄우는 것들.). 툴바나 자잘한 애드웨어를 잡을 수 있습니다.

 사전 설치된 소프트웨어 쪽은 격리하지 않고도 넘어갈 수 있는데, 만약 격리했다가 문제가 생기면 복원도 가능합니다.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 나오는 임시파일은 드라이브 루트(아마 C:\)에 'Adwcleaner'폴더가 만들어지는데, Adwcleaner 프로그램 내 설정에 들어가서 화면을 아래로 내리면 이 폴더를 제거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주의할 점은 '제거 기능' 사용 시 해당 폴더 내부 검사 없이 그냥 지워버리기 때문에 실수로라도 이 폴더에 중요한 파일을 복사해 넣거나 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합니다.

 지워도 다시 Adwcleaner를 사용하면 생성되는 폴더입니다.

- 멀웨어바이트는 ' Malwarebytes Anti-Malware (MBAM)'이라는 백신 아닌 백신으로 유명하다.
  이 녀석과 AD-Aware면 든든했던 시절이었는데, 당시에는 무설치 버전(개발자 양심에 맡겨야 할 만큼 의심스럽지만...)도 돌아다녔었다. 지금도 컴퓨터가 느려지거나 백신이 못잡는 뭔가 이상한 일이 있다면 한번쯤 설치해보라는 물건.
  하지만, 너무 무거워진 측면이 있어서 지금은 개인적으로는 안쓰고 있다.

 참고로 스파이웨어, 악성코드 탐지 제거 툴인 애드어웨어(Ad-Aware)는 Lavasoft라는 이름을 떼어버리고, Adaware로 사명을 바꾸었다. 이후 아방퀘스트(Avanquest)의 자회사로 운영 중이다.
 어제 포스팅한 Adlice 소프트처럼 메인이 되는 회사의 기둥이 되는 프로그램을 유지하면서 드라이버 유지보수 툴, PC 클리너, 브라우저용 애드블록(파이어폭스, 구글 크롬)를 제공한다. 아쉽지만 포터블은 없다.

KVRT (kaspersky virus removal tool)

 KVRT는 카스퍼스키 바이러스 제거 툴입니다. 역시 단일 파일로 제공되지만, 실행을 하면 '임시 파일' 설치 때문인지 로딩 시간이 좀 있습니다.

 

실시간 감시 같은 기능은 없이 딱 '실행 - 검색 - 체크된 바이러스가 있다면 삭제'까지 지원합니다.

 

어딘가에서는 1회용이라고 설명하기도 하는데, 그런 것은 아닙니다. 무설치일 뿐 언제든 파일을 실행할 수 있답니다.

 

다만, 사용한 이후에 '사용하지 않는 기간이 긴 경우'에는 업데이트 검사를 하고, 최신 버전은 다운로드 폴더에 받는 것으로 넘어가게 됩니다. 다운받은 파일을 원래 KVRT를 넣어놨던 폴더에  옮겨놓는 것은 유저의 몫일 뿐이죠.

 

보조 백신 정도로 나름 쓸만합니다. 아예 백신도 없거나 안 쓰는 시스템이라면 이거라도 사용하세요.(...제발...)

 

 참고로 사용 시 루트에 'KVRT_Data' 또는 'KVRT2020_Data' 폴더가 생성됩니다. 이 폴더를 삭제하려면 컴퓨터를 재시작 후에 삭제해야 합니다.

- 카스퍼스키는 유명한 백신이자 보안 기업이지만,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에는 '러시아 기업'이라는 점과 '러시아 정부와의 관계성' 때문에 이미지와 평가가 많이 안좋아진 상태. 미국에서는 아예 철수했고, 유럽등 다른 서방 측에서도 멀리하는 모습.

- KVRT와 비슷한 무설치 보안 툴인 Tdsskiller (안티 루트 킷 용)도 함께 적으려도 했는데, 지난 9월부터 러시아로 추정되는 랜섬웨어 그룹에 악용됐다는 소식이 있어서 제외 및 삭제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