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
[개인적인 메모 모음]
* 2019년 3월 5일 - 300만뷰 도달. ㅠ_ ㅠ/
* 2025년 4월 20일경 - 400만뷰 도달.
[구글 AI 실험] :: Google A.I. Experiments ::
그림을 사용자가 직접 그려 인공지능이 맞추게 하거나 간단하게 그림을 그렸을 때 비슷한 벡터 이미지를 인공지능이 골라주는 등의 색다른 재미와 인공지능 경험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
- 2025년 4월 23일 현재는 구글 랩스(Google Labs)로 변했다. AI가 일상에 들어오면서 이제 특별한 기능이 아닌 것이 되버렸다. 요 몇년 사이에 정말 급격하게 발전했다.
구글은 제미나이(제미니, Gemini) 앱을 내놓으면서 더 접근성이 좋아졌다. AI가 잘못된 답변을 보여주는 일이 있기도하지만, 요약이나 대화, 음성 인식에서 상당한 효율을 맛볼 수 있다.
[구글 검색] 개인적으로 구글 쓰면서 손에 익은 것들.
- 특정 사이트 검색 : 구글에서 '검색어 site://검색할 사이트 주소'로 입력
- 검색은 단어로 하고 단순히 한글만 쓰지말고, 목표가 되는게 파일이나 단어는 영어나 일본어등 원어로 검색하면 좀 더 원활하게 검색이 가능.
- 검색시 꼭 들어가야할 단어를 " 따옴표 " 로 묶어준다.
- 이미지 검색은 이미지를 업로드하거나 주소를 드래그앤드롭으로 추가가 가능하다.
- 검색도구를 누르면 더 자세한 내용 '날짜' '용량' '크기'등으로 원하는 것을 추려내기 좋다.
- 국내 서비스인 다음과 네이버는 검색은 별로지만 국내에서 돌아다니는 자료를 얻기에는 더 빠를수 있다.
하지만 검색은 폐쇄적이고 효율이 떨어진다. 구글신 믿어라.
- 검색된 목록에 보면 사이트 주소 옆에 꺼꾸로된 세모 버튼이 있다. '저장된 페이지'는 사이트가 존재할 때 있던 페이지를 보관하는 것으로 사라진 사이트라고 해도 텍스트 정도는 이걸로 얻어낼수 있다.
* 다음과 네이버는 검색 사이트로는 거의 0점이다. 국내 한정 카페나 블로그 검색 정도로나 쓸만하다... 원하는 걸 검색할 수 없는 물건. 차라리 DuckDuckGo나 빙이 더 쓸만하다.
추가> 2025년이 된 지금도 마찬가지다. 아무리 구글 검색이 퇴보하는 중이라지만, 카카오(다음)와 네이버는 검색에 발전이 없다. 딱, 국내 한정.
[유틸]
소프트피디아(SoftPedia) :: 믿고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프리,쉐어웨어 유틸을 다운받을 수 있다.
Portableapps :: 포터블화 유틸 홈페이지이자 직접 프리웨어를 USB나 이동 저장장치에서 바로 사용가능하게 해준다. 다만, 본래 프로그램을 포터블앱 런처로 한겹 두른 것이라 포터블앱스의 유틸을 많이 사용하면, 불필요한 용량 소모가 있다.
가능하다면 본래 프로그램에 포터블 버전이 있는지 확인한 후 사용하자.
Portableappz blogspot :: 다양한 유틸을 포터블화해서 배포하는 어느 정도 믿을 만한 블로그. (다만 포터블앱스와 달리 약간 크랙 비슷한 물건도 나왔던 곳이라 사용하는데 주의가 필요하다.)
Geeks언인스톨러 :: 소개는 여기로. 파일은 물론 레지스트리까지 삭제할 요소를 알아서 찾아준다.
에브리싱(Everything) : Voidtool에서 만든 파일 색인및 검색 프로그램. 매우 빠르며, 매우 정확하다. 다만, 파일 인덱스에 한계가 있으니 불필요한 폴더는 필터로 제외해줘야한다.
[이미지, 파일 다운로더]
히토미 다운로더 - 이름처럼 XX한 불법 만화 사이트를 긁는 용도로 주로 사용되지만, 그 외에 인스타스램이나 페북 같은 다양한 사이트에서 이미지나 파일을 얻기 편하게 되어 있다.
[게임 트레일러]
:: Gamersyde :: - 고화질 트레일러를 보거나 다운 받을 수 있다.
:: GameTrailers :: - http://www.gametrailers.com/ 사이트에서 유튜브 채널로...
2020.11.08 추가>> 이젠 이 부분은 거의 유튜브에 잠식됐다. IGN 트레일러 역시 유튜브 채널에서 볼 수 있다. 게임 라이브를 트위치. 영상은 유튜브.
[인터넷 사용, 사이버 보안]
:: 보호나라 :: - KISA(한국 인터넷 진흥원)에서 운영하는 보안사이트.
:: KVRT :: - 카스퍼스키의 무설치 수동 바이러스 체크/제거 파일. V3 네오처럼 독자적으로 구동되는 방식이다. V3는 네오 같은거 다시 안만드나...
[클라우드]
:: 구글 드라이브 ::
:: 네이버 마이박스 :: - N드라이브의 뒤를 이은 네이버클라우드의 뒤를 이은 클라우드 서비스.
:: 메가 클라우드 :: 메가 업로드 창업자 제작 클라우드. (2020추가) 재미있는 것은 제법 꼿꼿했던 이전 시절에 비해 메가 클라우드에서는 저작권에 협력을 잘하고 있다. mega.nz와 mega.io 모두 사용된다.
:: 다음 클라우드(http://cloud.daum.net) ::-2015년 서비스 종료
[만화 작가 정보]
:: MangaPark :: 작가와 해외 출판명을 알아볼때 주로 뜨는 곳. 영문 스캔본도 일부 볼 수 있다.
[웹 커뮤니티]
:: 매니안닷컴 :: - :: 윈도우 포럼 :: 으로 다시 돌아왔다. 아니 저기요...
:: 플레이웨어 게임 게시판 :: 게임 관련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2025년 playwares 서비스 종료.
:: 루리웹(룰리웹) 핫딜 :: - PC 대 콘솔 같은 쓸데 없는 전쟁이 없는 곳.
:: 쿨엔조이 알뜰 정보 :: - ...핫딜 링크만 늘어나는 것 같다.
:: 가생이닷컴 :: - 예전보다 자정 작용은 많이 떨어진 편
[스팀 게임 구입처 - 해외]
:: 스팀 :: 스팀에서 판매하는 게임이니... 가장 기본적이고 안정적인 구입처.
할인율은 그저 그렇지만 '꾸러미'나 게임 가격의 기본이 된다.
:: 험블번들 :: IGN으로 넘어간 이후에 평가가 좋지 않지만 다양한 게임을 '먼슬리'나 '번들'로
구입할 수 있는 사이트. 구입 시 기부가 되어서 게임도 사고 기부도 할 수 있다.
물론, 대부분 기부는 국내와는 아무 상관이 없는 곳(...)
추가>> 험블 먼슬리는 현재 험블 초이스로 변경되어 있다.
:: 파나티컬 :: 해외 번들 판매 사이트. 구 번들스타. 험블번들이 영 좋지 않을 때 희망으로 불린 곳.
다만, 한번 나온 번들은 재탕 삼탕 되는 일이 많다. 맥용 스팀 게임을 싸게 풀어서
윈도우 유저가 구입시 고민하게 만드는데 그 버전은 싸긴 싸다(...)
[스팀 게임 구입처 - 국내]
:: 다이렉트 게임즈 :: 다렉. 대표적인 국내 키셀러. 스팀 뿐 아니라 오리진, 유플레이 키도 판다.
H2 인터렉티브가 운영하며, 적극적으로 한글화를 하지만... 자체/독점인 경우
스팀에서 직접 구입한 게임은 한글화를 지원하지 않는다. 키가 갈린다. 끙.
만약 한글화를 믿고 구입해도 패치 시 바로 판올림이 없다던가, 아예 사후 지원을 포기
하는 등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어 조금 애매하다는 평.
그래도 해외에 비해 정가나 이벤트가격이 참하게 나오는 경우가 최근에 많다.
그 외 :: 게임피아(소프라노몰 / 코드피아) :: 게임몰 :: 포게임 :: 인벤게임즈 ::종료된 국내 판매처 : 게임토르, 크리에지독, 게임파라
* 이제 사용되지 않지만, 남겨둘 것들.
[메모]티스토리에 유튜브 걸때 : 최근 유튜브 링크 걸 때 '미디어를 찾지 못한다'는 식의 경고창이 뜨는데
이 때는 해당 공유 링크에 Http: 를 추가해 줘야한다. 아래 열기
위의 두가지를 예를 들면 이렇다.
변경 전 <iframe src="//www.youtube.com/embed/{videoId}?Rel=0" width="570" height="321"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변경 후 <iframe src="http://www.youtube.com/embed/{videoId}?vq=hd1080" width="570" height="321"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또는 embed/{videoId}?Rel=0&vq=hd720 이런식으로도 가능
showinfo=0 동영상 제목, 평가 숨기기, rel=0 관련 동영상 감추기 라고...
일반 공유 링크에서 HD로 공유하려면
https://www.youtube.com/watch?v={Video id}&hd=1 를 뒤에 붙여주면 된다.
과거보다 좀 세세한 설정이 사라진 편이다. 여전히 유튜브 올리기는 가능하지만 이제는 간략한 퍼가기를 지원한다.
유튜브 60 프레임 영상
HTML5 모드에서만 지원한다. 말그대로 고해상도 60프레임 영상을 볼수 있다.
- 파폭에서는 기본 플레이어가 플래시다 잘 안뜬다면 :: 유튜브 HTML5 :: 링크에서 조정할 수 있다.
파이어폭스는 주소창 about:config 로 들어가서 media.mediasource.enabled 값을 true로 바꿔야 추가적인 소스를 지원한다.
- 아직 파이어폭스는 지원하지 않는다. 아마도 34버전부터 지원하지 않을지...
혹시 다른 브라우져ㅡ크롬, IEㅡ를 쓰고 있다면 HTML5 모드에서 지원. 고해상도만 60프레임 영상을 지원하며, 720p60, 1080p60 이런식으로 옵션을 볼 수 있다.
최근에는 4K까지 잘 지원한다. 파폭도 이미...65.0.2 버전이 쓰여지고 있는 시대.
==========================================================================================
- Googleweblight (2015~ 2022.12.19)
구글웹라이트에 뒤에 보고 싶은 사이트 주소를 적는 식으로 사용해 이미지를 낮은 해상도로 줄여주고 필요없는 요소를 싹 제거하는 방식이었다. 느린 속도의 웹이나 저사양에서 쓸만하다.
[월탱]:: 북미 클라이언트 http://redirect.wargaming.net/WoT/latest_install_na ::
:: 북미 패치 latest_patch_na :: - 링크 바뀜 / 사라짐
[사이트맵]